■ 진행 : 김대근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용건 연금행동 공동집행위원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저출생·고령화 상황에서 국민연금 개혁은 꼭 풀어야 숙제인데요. 정부가 국민연금 개혁안을 발표했는데, '맹탕'이라는 비판이 나왔습니다. 어떤 내용이 핵심이고,어떤 부분이 지적을 받은 건지 알기 쉽게 알아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. 정용건 공적연금강화 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 모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먼저 지금 국민연금이 어떤 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야지 얘기가 쉬울 것 같아요. 설명 부탁드립니다. <br /> <br />[정용건] <br />우리 국민연금은 1988년에 도입되어서 지금 현재 35년째 시행되고 있는 공적 노후보장제도입니다. 전체 가입자는 2250만 명입니다. 그리고 국민연금을 지급받는 수급자는 어르신들은 645만 명입니다. 그다음에 보험료는 현재 9%이고요. 소득 대체율은 어렵지만 40%입니다. 보험료 9%는 직장가입자 같은 경우에는 노동자가 4.5%, 그다음에 사용자인 회사가 4.5% 내는 방식으로 되어 있고요. <br /> <br />소득 대체율은 어떻게 설명드려야 되냐면 대단히 어렵지만 제가 낸 평균소득, 40년 가입 기준으로 해서 40%입니다. <br />그래서 예를 들어서 제가 40년 동안 평균 월 소득이 300만 원이다. 그러면 그의 40%인 120만 원을 제가 은퇴하고 나서 매월 120만 원을 받도록 그렇게 되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지금 현재 소득 대체율은 1년에 1%씩, 국민연금은 자기의 블록을 하나씩 해마다 쌓아가서 은퇴하고 나면 그걸 받도록 그렇게 돼 있고요. 그다음에 지금 현재 평균 수급자들이 받는 연금액은 56만 3000원입니다. 그래서 노인들의 최소 노후생활비가 124만 원인데 그 절반에도 못 미치는 56만 3000원밖에 현재 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말씀하신 것은 평균적으로 받는 금액을 말씀해 주신 것이고요. 보험료율이라는 것은 그러니까 내가 내는 보험료. 그게 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얘기하는 거겠죠? 소득 대체율이라는 것은 일단 올해는 42.5%인 거고요. 쉽게 얘기하면 생애 평균 소득 대비 노후에 받을 수 있는 연금 수령액. <br /> <br />[정용건] <br />그 비율을 2028년까지 해마다 0.5씩 깎여서, 그래서 2028년 이후에는 소득 대체율이 40%입니다. 그러니까 4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03109204498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